전순서 관계(비교)
r6 vs r7 | ||
---|---|---|
... | ... | |
13 | 13 | 1. [math(\forall x, y \in A (x \preceq y \lor y \preceq x))] (강한 연결성; strong connexity) |
14 | 14 | 1. [math(\forall x, y \in A (x \preceq y \land y \preceq x \to x = y))] (반대칭성; anti-symmetricity) |
15 | 15 | 1. [math(\forall x, y, z \in A (x \preceq y \land y \preceq z \to x \preceq z))] (추이성; transitivity) |
16 | ||
17 | == 기타 == |
|
18 | 일반적으로 유한집합은 전순서 집합이어야 정렬이 가능하다. [[정렬 원리|무한집합을 정렬]]하기 위해선... [[선택공리]]를 살펴보자. |